통상임금 계산기 | 평균임금·수당 자동 계산 가이드
“통상임금 계산기 어디 있어요?”
실제로 급여 담당자나 사장님들이 가장 자주 묻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.
근로기준법상 ‘통상임금’은 각종 수당, 연장·야간수당, 퇴직금까지 연결되는 핵심 개념이죠.
오늘은 **2025년 기준 통상임금 계산법과 계산기 사용법**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
1️⃣ 통상임금이란? (평균임금과의 차이)
통상임금은 ‘정기적·일률적·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’을 말합니다. 반면, 평균임금은 일정 기간 동안 실제로 받은 임금의 평균값으로, 퇴직금 산정 등에 사용됩니다.
| 구분 | 통상임금 | 평균임금 |
|---|---|---|
| 기준 | 고정적·정기적 임금 | 실제 지급액의 평균 |
| 용도 | 연장·야간·휴일 수당 | 퇴직금, 휴업수당 |
| 기간 | 1일 단위 | 최근 3개월 평균 |
2️⃣ 통상임금 계산 공식
아래 기본 공식을 기억해두세요.
통상임금 = (기본급 + 고정수당) ÷ 월 소정근로시간
- ✅ 고정수당: 직책수당, 기술수당, 정기적 식대 등
- ⚠️ 제외 항목: 실비, 상여금(비정기), 연장수당 등
- 💡 월 소정근로시간 = 주 40시간 × (365일 ÷ 7일 ÷ 12개월) ≈ 209시간
3️⃣ 예시로 보는 통상임금 계산
예를 들어 기본급이 2,200,000원, 고정식대가 100,000원인 근로자의 경우:
(2,200,000 + 100,000) ÷ 209 = 약 11,004원
👉 즉, 시급 통상임금은 약 11,004원이 됩니다.
4️⃣ 자동 계산기 바로가기
직접 계산이 어렵다면 아래 공식 계산기를 이용하세요.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식대는 통상임금에 포함되나요?
정기적·일률적으로 지급된다면 포함됩니다. 단, 실제 지출 보전용 실비 성격이라면 제외됩니다.
Q2. 상여금은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나요?
정기적이고 고정된 금액으로 지급된다면 포함 가능하지만, 실적이나 성과에 따라 변동되는 상여금은 제외됩니다.
Q3. 연장근로수당 계산 시 통상임금을 써야 하나요?
맞습니다. 연장·야간·휴일 근로수당의 기준이 바로 통상임금입니다.
요약
- 통상임금은 고정·정기 지급 임금 기준
- 퇴직금은 평균임금 기준으로 계산
- 공식 계산기: 고용노동부 사이트에서 무료 제공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