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금 체불 자가 진단 체크 리스트 10

Checklist-10-for-self-diagnosis-of-unpaid-wages

내 사업장, 체불 리스크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10


정부가 체납·체불 사업장을 어떻게 선별하는지,
그리고 내 사업장이 리스크 대상인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
체크리스트 10가지
를 알게 됩니다.


🔍 점검 기준: 고용노동부가 실제로 보는 항목들


2025년 시행령 기준에 따라, 다음 항목들이 체불 위험 평가에 사용됩니다.
4개 이상 해당 시, 주의 대상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.

항목 내용
1최근 6개월 내 퇴사자 3명 이상 발생
2최근 3개월 내 4대 보험 중 1개 이상 체납
3급여일이 고정되어 있지 않거나, 현금 지급 위주
4건설업 등록 후 행정처분 이력 있음 (정지, 실적 미보고 등)
5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매달 급변함
6계약서상 명시되지 않은 급여 구조가 있음
7수시 인력변동 또는 단기직 고용 반복
8퇴직금·수당 등 누적 미지급 내역 존재
9공공입찰 참여 중 또는 계획 중인 사업장
10최근 1년 내 임금체불 신고 이력 있음



✅ 진단결과 해석


  • 0~3개 해당 → 양호
  • 4~6개 해당 → 주의
  • 7개 이상 → 위험: 정부 집중관리 대상 가능성

해당 항목은 단순 체크리스트가 아닌, 실제로 정부 기관 간 연계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입니다.



📌 사전 예방이 곧 리스크 차단입니다


  • ✅ 급여일과 지급방식을 명확히 시스템화
  • ✅ 노무관리는 전문가(노무사)와 정기적으로 협업
  • ✅ 4대 보험, 퇴직금 등 ‘당연히 해야 할 것’부터 점검


🔒 다음 이야기 예고


다음 글에서는 👉 정부 지원금 받고 싶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고용보험 3가지 조건을 안내해드립니다.


다음 이전